💡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신청안내

출산했지만 고용보험 출산휴가급여를 받을 수 없다면?
정부가 지원하는 출산급여를 통해 소중한 생명과 함께,
당신의 소득과 삶도 지킬 수 있습니다.

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바로 신청하기



📌 지원 개요

고용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출산여성을 위한 현금 급여 지원 제도입니다.
모성보호 및 생계 안정을 위해 출산 후 최대 15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.


💰 지원 내용

  • 출산 시: 최대 150만 원 지급

  • 유산 또는 사산 시, 임신 주수에 따라 차등 지급

    • 15주 이내: 30만 원

    • 16~21주: 50만 원

    • 22~27주: 100만 원

    • 28주 이상: 150만 원


👩‍💼 지원 대상

소득활동 중이나 고용보험 출산휴가급여를 받을 수 없는 출산여성이라면 누구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예시 대상자 유형:

  • 근로자

    • 고용보험 피보험자지만 180일 미만 가입자
    • 고용보험법 적용 제외 사업장 근로자
    •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 중 일부
  • 1인 자영업자

    • 사업소득 신고 이력이 있는 개인사업자

  • 프리랜서·특수형태근로자

    • 계약 기반 소득활동자(플랫폼 노동자 포함)


📝 신청 절차

  1.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
  2. 필요 서류 준비
  3. 관할 고용센터 또는 온라인 접수
  4. 심사 후 지급 결정 (통상 14일 이내)


📂 필요 서류

공통 제출서류

  • 출산증명서 또는 유산·사산 진단서 (해당 시)

소득활동 증빙자료 (유형별 상이)

  • 근로계약서, 임금 입금내역

  •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

  •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증명

  • 고용보험 미가입 확인서 등


⚠️ 유의사항

  • 출산일로부터 1년 내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.

  • 허위 서류 제출 시 환수 및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  • 예술인·노무제공자로 고용보험 출산전후급여를 받은 경우 중복 수급은 불가합니다.


📨 신청 방법

  1. 방문 신청: 가까운 고용센터
  2. 온라인 신청: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정부24

🔄 이의 신청

지급 결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, 이의신청서 제출 가능

  • 고용센터 또는 온라인 접수 가능

  • 신청서 및 관련 증빙자료 제출


🔎 관련 제도 함께 알아보기

  • 출산전후휴가급여 (고용보험 가입자용)

  • 예술인·노무제공자 출산전후급여

  • 자영업자 출산지원 제도
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출산 전 보조인력 1명을 채용해도 급여 받을 수 있나요?
A. 출산일 기준 피고용인이 없으면 대상이 되며, 출산 전 3개월 이후 보조인력 1인을 채용한 경우는 예외적으로 인정됩니다.

Q. 예술인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데, 두 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고용보험에서 출산전후급여를 수급 중이라면 중복 지급은 불가합니다. 단,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 미적용자 출산급여 신청 가능성이 있습니다.


✅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!

출산이라는 큰 여정에, 국가도 함께합니다.
고용보험 미적용자라 해도 출산급여는 포기하지 마세요!

👉 자세한 상담은 1350 고용노동부 고객센터 또는 고용센터에 문의하세요.

참고 영상